107% rule - 107% 룰
첫 번째 퀄리파잉 세션에서(Q1에서) 가장 빠른 선수 기록의 107%를 넘는 경우 레이스에서 달리는 것이 허용되지 않는다.
하지면 예외적으로 연습경기 때 기록도 고려해서 스튜어드(Steward)들이 허용할 수 있고, 엄격하게 적용되는 룰은 아니다.
Aerodynamics - 에어로다이나믹스(공기역학)
차체 주변 공기 흐름에 대한 연구이며, F1 자동차 디자인에 본질적인 부분이다.
Airbox - 에어박스
드라이버의 머리 위에 있는 엔진 공기 흡입구이며, 사고로 차가 전복되는 경우 머리를 보호하며 무게를 받쳐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.
Apex - 에이펙스
코너 안쪽 라인의 중간지점, 코너 안쪽 라인에 가장 가까운 지점.
Autoclave - 오토클레이브
고온, 고압을 이용해 F1 차를 만들기 위한 순수한 탄소섬유(carbon fibre)를 만들어 내기 위한 장치.
Backmarker - 백마커
가장 마지막 순위의 차량, 보통 선두 차량과 1바퀴 차이가 나면서 마주칠 때 사용한다. 백마커에게는 블루 플래그가 표시되며, 뒤에 따라오는 선두 차량의 추월을 방해하면 안 된다.
Ballast - 밸러스트
차량 무게 균형을 맞추거나, 최소 무게 요구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무게추.
Bargeboard - 바지보드
앞바퀴와 사이드팟(sidepods; 운전석 양 옆 엔진냉각용 공기 흡입구) 사이에 접합된 수직 구조물로, 공기역학을 부드럽게 하기 위해 사용.
Blistering - 블리스터링
타이어 전체 또는 부분적 과열로 인해 부드러워진 고무 부분이 뜯겨 나가는 것. 너무 소프트한 타이어 컴파운드를 선택한 경우 또는 타이어 압력이 너무 높은 경우, 차량 셋업이 부적절한 경우 발생할 수 있다.
Bodywork - 바디워크
피트에서 모노코크 프레임 위에 장착되는 탄소섬유 구조물, 엔진커버(engine cover), 운전석 윗부분(cockpit top), 노즈콘(nosecone).
Bottoming - 바터밍
섀시가 트랙 표면에 긁히는 현상.
Brake balance - 브레이크 밸런스
앞, 뒤 브레이크 밸런스를 조절하는 스위치.
Camber - 캠버
타이어가 차 안쪽 또는 바깥쪽으로 기울어져 있는 각. 핸들링 특성을 조절하기 위해 각을 조절한다.
Chassis - 섀시
엔진과 서스펜션이 붙어있는 차의 가장 중요한 부분.
Chicane - 시케인
연달아 이어지는 반대방향(S자) 커브, 차량의 속도를 줄이기 위한 용도로 주로 사용된다.
Clean air - 클린 에어
레이스의 선두에 있는 경우 최적의 공기역학적 성능을 나타내기 위한 공기 조건.
Coanda effect - 콴다 효과
공기와 같이 흐르는 유체가 근처 표면을 따라 흐르는 현상을 나타낸다. 차 뒤쪽으로 배출되는 공기를 디퓨저를 예로 들 수 있다.
Cockpit - 칵핏
운전자가 앉는 부분
Compound - 컴파운드
10가지가 넘는 조성물들의 혼합으로 만들어지는 타이어의 특성을 나타낸다. 가장 이상적인 컴파운드는 그립을 최대화하고, 내구성을 좋으며, 열저항도 좋은 컴파운드이다.
Debrief - 디브리프
각 세션 후 엔지니어와 드라이버가 참여하는 셋업, 성능, 전략 등을 의논하기 위한 미팅.
Degradation - 디그라데이션
타이어의 성능 및 그립이 떨어지는 것을 나타내는 용어. 타이어 트레드가 마모에 의한 타이어 수명과는 다른 것.
Diffuser - 디퓨저
차의 후면 아래쪽, 아래로 흐르는 공기가 뒤로 빠져나가는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부분이다.
공기가 빨리 빠져나갈수록 차 아래쪽 공기압력이 줄어들어서 더 많은 다운포스를 얻을 수 있다.
Downforce - 다운포스
차가 전진하면서 생기는 힘으로 차를 아래쪽으로 누르는 힘이다. 다운포스가 커질수록 마찰력으로 인해 타이어 그립이 좋아지고, 코너에서 미끄러지지 않고 잘 돌아나갈 수 있다.
Drag - 드래그
차가 전진할 때 공기 저항과 차량 후면의 저기압으로 인해 차량을 뒤로 끌어당기는 힘.
Drive-through penalty - 드라이브쓰루 페널티
레이스 진행 중에 주어지는 페널티로, 드라이버는 피트레인을 속도제한을 지키면서 멈추지는 않고 지나치면 된다.
Drivers' briefing - 드라이버 브리핑
드라이버와 FIA 레이스 디렉터 간 여러 이슈에 대한 미팅.
DRS - Drag Reduction System
조절 가능한 리어윙이다. 전자적으로 제어되며 DRS를 사용하면 리어윙이 열리고 더 빠른 가속을 할 수 있다. 연습주행이나 퀄리파잉에서는 아무 때나 쓸 수 있고, 레이싱 중에는 앞차와의 간격이 1초 이내일 때에만 사용할 수 있다. 브레이크를 밟으면 리어윙이 원위치로 돌아온다. ERS와 함께 추월을 쉽게 하기 위해 설계되었고, 의무적인 시스템이다.
ECU - Electronic Control Unit
전자제어장치. 엔진, 기어박스 등도 전자식으로 제어함.
Endplate - 엔드플레이트
프런트윙, 리어윙의 양쪽 끝에 달린 수직 패널.
ERS - 에너지 회복 시스템
터보차져와 브레이크 시스템에서 버려지는 열에너지와 운동에너지를 에너지로 저장하는 MGU(Motor Generator Unit)라는 장치이다. MGU-K(운동에너지 사용)와 MGU-H(열에너지 사용)로 나뉜다. ERS는 약 33초 동안 120kw의 파워를 제공할 수 있다.
Flat spot - 플랫 스팟
스핀이나 브레이크를 강하게 밟는 경우 타이어 특정 부분이 편평하게 만들어지는 부분. 심한 진동을 일으키기도 하며 핸들링을 어렵게 만든다.
Formation lap - 포메이션 랩
레이스 시작 전 그리드에서 한 바퀴를 돌아 다시 그리드에 순위에 맞춰 서는 주행. 웜업 랩이나 퍼레이드 랩으로도 불림.
G-force - G포스
차량 주행 중 방향이나 속도 변화 시에 생기는 물리적 힘으로 중력가속도 단위인 G를 기준으로 측정한다. 드라이버들은 코너에서나 감속, 가속 시에 극심한 G포스를 경험하게 된다.
Graining - 그레이닝
주행 중 타이어의 고무가 조금씩 떨어져 나가며 타이어 그립이 줄어드는 효과. 드라이빙 스타일, 트랙 조건, 차량 셋업에 따라 정도 차이가 난다.
Gravel trap - 자갈 트랩
경기장 바깥쪽 자갈이 깔린 구역으로 트랙을 벗어난 차량의 속도를 줄여주기 위한 용도이기도 하다.
Grip - 그립
차량 주행 중 발생하는 마찰력의 정도이며, 코너를 얼마나 쉽게 돌아나가는지에 영향을 미친다.
Handling - 핸들링
차량 자체의 코너링 성능에 대한 용어이다. 일반적으로 언더스티어, 오버스티어가 발생하지 않고 균형을 잘 유지하며 코너를 돌아가는 경우 핸들링이 잘 된다고 한다.
HANS Device - Short for Head and Neck Support Deice
드라이버의 어깨와 헬맷의 뒤쪽에 놓이는 안전장비이다. 사고 시에 목과 머리를 보호하기 위한 장비로, 의무적 안전장비이다.
Heat cycle - 열 사이클
주행에 따라 타이어 온도가 오르고 내리는 과정을 나타내는 용어로, 타이어 컴파운드에 따라 효과가 다르다.
Installation lap - 인스톨레이션 랩
쓰로틀, 브레이크, 스티어링 등을 체크하기 위한 랩으로 피니쉬 라인을 통과하지 않고 피트레인으로 돌아오는 주행이다.
Jump start - 점프 스타트
출발 시 빨간불 5개가 꺼지기 전에 출발하는 경우 센서가 감지하게 되고, 드라이버에게 페널티가 주어진다.
Kevlar - 케블러
차량 제작에 쓰이는 강하고, 가벼운 에폭시 레진이 포함된 합성섬유이다.
Left-foot braking - 왼발 브레이킹
1990년대 핸드 클러치가 적용되면서 오른발은 스로틀에 그대로 두고, 왼발로 브레이킹 하는 스타일이 만들어졌다.
Lock-up - 락업
주행 중 한 개 또는 여러 개 브레이크가 갑자기 잠기고 나머지는 돌아가는 현상으로, 일반적으로 연기와 플랫스팟이 발생한다.
Lollipop - 롤리팝
피트스탑 중에 드라이버에게 브레이크를 밟고 1단 기어를 유지하기 위해 알려주는 신호봉.
Marbles - 마블
레이싱 라인 주변에 쌓인 타이어 파편들, 보통 다른 표면보다 미끄렁워진다.
Marshal - 마샬
코스 곳곳에 배치되어 레이스의 안전한 진행을 도와주는 역할을 하는 인원.
Monocoque - 모노코크
운전석을 포함한 통모양의 일체형 구조물이다.
Nomex® - 내열성이 좋은 섬유로 드라이버의 신발, 복장을 만드는 데 사용.
Option tyre - 옵션 타이어
각 그랑프리에 지정된 세컨드 타이어로 보통 프라임타이어보다 소프트한 타이어다.
Out brake - 아웃브레이크
브레이크를 늦게 밟거나 약하게 밟아서 코너를 크게 돌아버리는 경우. 추월을 시도할 때 실수로 인해 자주 발생.
Oversteer - 오버스티어
코너를 돌 때 뒷바퀴가 미끄러지며 차량이 코너 안쪽으로 회전하는 현상. 미끄러지지 않기 위해서는 반대방향으로 스티어링을 할 필요가 있다.
Paddles - 패들(패들 시프트)
스티어링 휠 양쪽 뒤편에 달린 패들 변속기
Paddock - 패덕
피트 뒤쪽 각 팀별로 비공개로 할당된 공간.
Parc ferme - 파크 페르메(프랑스어 '닫힌 공원')
퀄리파잉 후 차가 보관되는 장소로, 레이스 스튜어드의 허가 없이는 차량에 손을 댈 수 없다.
Pit board - 피트 보드
드라이버들에게 순위, 앞차와의 간격 등을 알리기 위한 보드이지만, 무선 통신 수단이 있기 이전에만 사용되었다.
Pit wall - 피트 월
레이싱 중에 팀 오너, 매니저, 엔지니어가 있는 공간. 보통 태양과 비를 피하기 위해 차양막이 설치된 곳에 있다.
Pits - 피트
차량을 세우고 타이어 교체, 연료 보충, 셋업 등을 변경하기 위한 각 팀별 할당된 공간.
Plank - 플랭크
차량 하부에 장착한 나무 판으로 나무가 닳아있는 정도를 확인해서 트랙 표면에 너무 붙어서 주행하지 않았는지 체크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.
Pole position - 폴 포지션
퀄리파잉에서 가장 빠른 기록 보유자. 레이싱 그리드 가장 앞자리에서 출발.
Powertrain - 파워트레인
엔진, ERS, ES 등을 포함해 차량 출력과 관련된 전체 시스템.
Practice - 프랙티스
금요일부터 토요일 오전까지 차량 셋업 및 퀄리파잉을 준비하는 연습주행.
Prime tyre - 프라임 타이어
서킷 특성에 따라 레이스에 사용하기 위해 지정된 타이어 컴파운드. 보통 하드,미디엄 타이어.
Qualifying - 퀄리파잉
레이스에서의 스타팅 그리드 순위를 정하기 위해 기록을 측정하는 토요일 세션.
Reconnaissance lap - 정찰 랩
피트를 벗어나서 그리드에 서기까지의 랩.
Retirement - 리타이어 (= DNF)
사고나 기계적 결함으로 레이스 중지.
Ride height - 라이드 높이
트랙 표면과 차량 바닥 사이의 높이.
Rumblestrip - 럼블스트립
트랙의 가장자리에 줄무늬로 표시되어 돌출되어 있는 부분.
Safety Car - 세이프티카
트랙의 사고나 방해물로 인해 주행중인 차량 속도를 줄여야 하는 경우 피트에서 트랙으로 나가 선두 차량에 앞서는 차량.
Scrutineering - 스크루트닝
기술적으로 규정을 위반한 부분이 없는지 공식적으로 확인하는 절차.
Sectors - 섹터
서킷 주행 시 타이밍을 확인하기 위해 나눈 구간으로 3개 구간으로 나눈다. 공식적으로 섹터1, 섹터2, 섹터3라고 부른다.
Shakedown - 쉐이크다운
다른 부품의 동작을 확인하기 위해 처음 하는 간단한 테스트
Sidepod - 사이드팟
모노코크의 측면에서 리어윙까지 이어지는 차량의 측면 부분. 운전석 양 옆 엔진냉각용 공기 흡입구
Slipstreaming - 슬립스트림
주행 중 앞차 뒤에 붙어서 공기 저항을 줄이는 전략이다. 스피드에서 이득을 얻을 수 있다.
Steward - 스튜어드
각 그랑프리에서 의사결정을 담당하는 심판.
Stop-go penalty - 스탑고 페널티
피트스탑에서 10초 대기하는 페널티. 페널티 시간에 타이어 교체 등의 행동은 금지된다.
Tear-off strips 티어오프 스트립
헬멧 바이저에 장착하는 플라스틱 투명 스트립으로 더러워지면 제거 가능.
Telemetry - 텔레메트리
엔진, 섀시 관련 정보들을 피트에서 확인할 수 있게 해 주는 시스템
Torque - 토크
일반적으로 엔진의 유연함을 측정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. 엔진 출력 자체가 크지 않더라도, 비교적 큰 토크를 낼 수 있는 엔진이 있다면 가속 감속이 빈번히 발생하는 트랙에서는 더 빠르게 달릴 수 있다.
Traction - 트랙션
차량 출력이 트랙 표면을 통해 전달되는 정도.
Traction control - 트랙션 컨트롤
2008년 시즌부터 금지된 장치로, 전자적으로 각 휠의 트랙션을 측정하고, 각 휠의 출력을 조절해 주는 장치이다. 출력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.
Tub - 텁(통)
모노코크 프레임의 모양 때문에 불리는 모노코크의 다른 이름.
Turbulence - 터뷸런스
리어윙으로 인해 공기 흐름이 방해된 이후의 공기 흐름. 터뷸런스 에어는 뒤따르는 차량의 공기역학적 성능을 저하시킨다.
Turbocharger - 터보차져
압축된 공기를 엔진에 공급하여 엔진 출력을 높이는 장치. 배기가스 터빈으로 컴프레셔뿐 아니라 MGU-H도 동작하게 된다.
Tyre compound - 타이어 컴파운드
고무 혼합에 따라 특성이 다른 각 타이어. 간단히 소프트, 미디엄, 하드 타이어로 구분.
Tyre warmer - 타이어 워머
타이어 동작을 위한 최적 온도에 근접한 상태에서 시작하기 위해 경기 전 타이어 위에 덮어놓는 전기담요.
Understeer - 언더스티어
코너에서 차량 앞부분이 미끄러져서 코너를 크게 돌아나가는 현상.
Undertray - 언더트레이
모노코크 프레임 아래쪽에 장착된 분리 가능한 바닥 부분.
Visor strip - 바이저 스트립
헬멧 위쪽에 장착된 탄소섬유 강화 자일론(Zylon) 스트립.
Wheelbase - 휠베이스
앞바퀴 축과 뒷바퀴 축 사이의 거리. 핸들링에 영향을 준다.
Yaw - 수직 축 기준으로 회전하는 정도 (도리도리)
Pitch - 가로 축 기준으로 회전하는 정도 (끄덕끄덕)
Roll - 세로 축 기준으로 회전하는 정도 (갸우뚱?)
Zylon - 자일론
합성 재료로 드라이버의 헬멧과 칵핏의 양쪽 사이드를 강화하기 위해 사용된다.
'F1 알아가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헝가리 GP 2021. 08. 01 (디펜스마스터 알론조) (0) | 2021.08.03 |
---|---|
2021 프랑스 그랑프리(레드불vs메르세데스) (0) | 2021.06.23 |
F1 공식 사이트 및 유튜브 채널 (0) | 2021.06.17 |
언더컷, 오버컷? (2021 모나코 그랑프리) (0) | 2021.06.17 |
2021 스페인 그랑프리에서 메르세데스의 전략(Feat. 2Stop) (0) | 2021.06.17 |